조회 수 7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가끔 드라마나 코미디에서 커피 심부름시키는 상사에게 침 뱉은 커피를 가져다주는 장면이 나옵니다. 상사의 갑질에 대한 일종의 소심한 복수라 할 수 있습니다. 당장이라도 들이받고 그만두고 싶지만, 계속 직장을 다녀야 하는 상황에서는 그렇게라도 해서 속을 풀고 싶은 것입니다. 직장 상사와 부하직원은 함께 일하는 시간이 많고, 어쩔 수 없이 많은 것을 함께 해야 합니다. 서로 마음이 맞고 도움이 된다면 힘든 업무도 수월하게 해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불편한 관계가 될 때, 생산성과 사기, 의욕이 떨어지고, 함께하는 시간이 지옥처럼 느껴집니다. 이렇게 불편한 관계로 함께 해야 한다는 것은 브레이크와 엑셀을 함께 밟는 것과 같습니다.

 

에베소서 6:5-9에는 종과 상전의 관계에 대해 말씀합니다. 사도바울 당시 로마제국에는 약 6천만 명의 노예가 있었을 것으로 추산되며 이는 전체 인구의 1/3에 해당 되는 많은 숫자입니다. 그리고 그들 중 기독교인이 되는 사람이 점점 늘어가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교회 안에는 자유인이나 로마 시민권자도 있었지만, 노예가 되어 종으로 살아가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당장에 노예제도를 철폐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종과 상전의 관계는 어떠해야 하는가를 설명합니다. 요즘에도 법이나 제도적으로는 평등한 관계를 유지하지만, 실제로는 갑과 을이 존재하고, 기득권자와 비기득권자 사이에 불편한 공존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바울의 교훈을 보면 모든 관계는 일방적이지 않고 상호관계성 속에서 설명합니다. 서로 잘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부모와 자식, 종과 상전, 남편과 아내의 관계는 그리스도를 경외함으로 피차 복종하라(5:21)”는 대원칙하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종에게(직장인에게)

요즘에는 종이나 노예가 없습니다. 그러나 직장에서는 을이요, 사회적으로는 약자로 적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무런 힘도 없는 흙수저 출신이 엘리트 코스를 겪어 상사가 되어 있는 사람에게 부당한 대우를 받으면 반발심과 분노를 느끼게 됩니다. 그래서 필요 이상으로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기 쉽습니다. 잘못된 것에 대해서는 충분히 의사표시를 할 수 있지만, 중요한 것은 태도입니다. 적어도 믿는 자라면 무례하거나 거친 표현, 상식에서 벗어난 태도는 보이지 말아야 합니다. 그리스도께 하듯 하고(5), 그리스도의 종의 마음으로 하나님의 뜻을 행하고(6), 기쁜 마음으로 섬기기를 주께 하듯 하라(7)고 권면합니다. 일단은 상사가 주님이라고 생각하고 합당한 태도를 가지라는 것입니다. 그러면 하나님께서 행한대로 받게 하실 것이라고 약속합니다(8). 그러나 일방적으로 종에게만 요구하지는 않습니다.

 

상전에게(상사에게)

 

그리스도인 직장인이 주께하듯 대하면 상사들 역시 의무가 있습니다. 자신에게 주어진 권리와 권한으로 위협하면 안 됩니다(9). 갑질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모든 사람을 인격적으로 대해야 합니다. 사람은 하나님 앞에 모두가 평등합니다. 내가 누군가를 고용했거나 내 아랫사람으로 있다는 것은 그 사람의 노동력을 대가를 지불하고 임대했다는 것이지, 그 사람의 인격까지 내가 소유하고 마음대로 할 수 있다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자신도 중간관리자일뿐 실제 상사는 하늘에 하나님이심을 기억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 하나님은 사람을 외모로 취하지 않으시는 분입니다. 우리가 어떻게 하는지 마음 중심과 태도를 보십니다.


명륜골 이야기

명륜골 이야기 게시판입니다.

  1. No Image 04May
    by 관리자
    2024/05/04 by 관리자
    Views 15 

    0505 어린아이와 같이

  2. No Image 11May
    by 관리자
    2024/05/11 by 관리자
    Views 17 

    0512 가족은 서로 잘해야 합니다

  3. No Image 18May
    by 관리자
    2024/05/18 by 관리자
    Views 14 

    0519 내가 떠나가는 것이 너희에게 유익이라

  4. No Image 25May
    by 관리자
    2024/05/25 by 관리자
    Views 12 

    0526 해야 할 것을 하고 싶게

  5. No Image 01Jul
    by 관리자
    2023/07/01 by 관리자
    Views 60 

    0702 맥추절을 지킨다는 것은

  6. No Image 08Jul
    by 관리자
    2023/07/08 by 관리자
    Views 67 

    0709 제자로 살아간다는 것은

  7. No Image 15Jul
    by 관리자
    2023/07/15 by 관리자
    Views 76 

    0716 갑(甲)질과 소심한 복수

  8. No Image 22Jul
    by 관리자
    2023/07/22 by 관리자
    Views 59 

    0723 열매 맺고 자라게 하소서

  9. No Image 29Jul
    by 관리자
    2023/07/29 by 관리자
    Views 56 

    0730 어머니가 자식을 위로함 같이

  10. No Image 05Aug
    by 관리자
    2023/08/05 by 관리자
    Views 52 

    0806 아브라함 리스트와 디스카운트

  11. No Image 12Aug
    by 관리자
    2023/08/12 by 관리자
    Views 55 

    0813 나의 예배는 하나님께 어떤 의미입니까?

  12. No Image 19Aug
    by 관리자
    2023/08/19 by 관리자
    Views 51 

    0820 갈등을 성장의 기회로

  13. No Image 26Aug
    by 관리자
    2023/08/26 by 관리자
    Views 49 

    0827 시작도 끝도 예수님

  14. No Image 02Sep
    by 관리자
    2023/09/02 by 관리자
    Views 51 

    0903 부르심에는 이유가 있다

  15. No Image 09Sep
    by 관리자
    2023/09/09 by 관리자
    Views 71 

    0910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두 가지 제사

  16. No Image 16Sep
    by 관리자
    2023/09/16 by 관리자
    Views 48 

    0917 하나님의 눈으로 바라보기

  17. No Image 23Sep
    by 관리자
    2023/09/23 by 관리자
    Views 39 

    0924 무책임한 낙관론의 위험

  18. No Image 27Sep
    by 관리자
    2023/09/27 by 관리자
    Views 44 

    1001 가장 중요한 권면 - 기도

  19. No Image 07Oct
    by 관리자
    2023/10/07 by 관리자
    Views 46 

    1008 역전될 미래, 현재를 사는 지혜

  20. No Image 14Oct
    by 관리자
    2023/10/14 by 관리자
    Views 54 

    1015 하나님, 질문있습니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 21 Next
/ 21